이제 값싼 자동차가 희귀해진다
상태바
이제 값싼 자동차가 희귀해진다
  • 오토카 코리아 편집부
  • 승인 2022.04.11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카플레이션(Car와 Inflation의 합성어) 현상이 우크라이나 사태로 장기화되고 있다.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난, 소재가격 급등 등에 따른 제조 원가 상승으로 각국의 신차·중고차 가격이 고공행진 중이며 이러한 현상을 야기한 근본적인 문제는 현재 해결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난은 관련 업계가 소수의 파운드리에 반도체 생산을 위탁하는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당분간 자동차 업계 자체적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 2월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급망에 불확실성이 증폭됨에 따라 카플레이션은 더욱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쟁 장기화 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러시아산 네온(Ne), 팔라듐(Pd) 공급, 우크라이나산 와이어링 하네스 등 부품 공급 문제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對) 러시아 경제제재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러시아 육상 운송 제한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 등이 자동차를 포함한 제조업 전반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

폭스바겐의 CEO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코로나-19 펜더믹 이상으로 유럽 자동차산업에 악영향을 끼치고 엄청난 가격 상승을 야기할 것임을 지적한 바 있다.

이와 동시에, 저렴한 자동차는 완성차 기업의 전략 강화와 환경 규제로 시장에서 점점 줄어들고 있다. 기업 전략 측면에서 주요 완성차 기업은 수익성이 낮은 엔트리급 차종 대신 수익성이 높은 차종을 확대하는 추세다. 이미 수년 전부터 대당 이익률이 낮은 소형 세단·해치백 생산을 줄이는 대신 수익성이 높은 SUV나 픽업트럭, 프리미엄 차종의 비중을 높여나가는 중이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주요 완성차 기업들은 자동차 반도체 공급난에 맞서 수익성이 높은 차종을 보다 많이 생산함으로써 판매대수 감소에 따른 실적 하락을 상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으로 저렴한 전기차 등장에 대한 기대가 높은 상황이나 전기차 생산비용 저감이 예상보다 지연되면서 기업들은 프리미엄 전기차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및 수익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환경 규제 역시 배출가스 등 규제 대응 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이 낮은 차종이 시장에서 자연 퇴출되는데 한몫 하고 있다. ‘25년 발효 예정인 유로 7(Euro-7) 환경 기준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최신 내연기관차도 충족이 매우 어렵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부분의 차종에서 파워트레인 전동화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각국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 감소가 더해지며 완성차 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한국을 포함한 각국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

월드 뱅크(World Bank)는 ‘21년 하반기에 주요 선진국의 44%, 개발도상국 및 신흥국의 71%가 5% 이상의 물가인상률을 보였으며 이는 최근 20년 간 전례 없는 현상임을 언급했다.(’22.2월)

공급과 수요의 간극 속에서 소비자는 신차 구매를 포기하거나 미루는 경향을 보일 수 있고, 중국산 완성차 등이 글로벌 시장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노력을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 로컬 브랜드 완성차는 지금까지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 호소력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유틸리티 차종(utility vehicle)을 중심으로 중국 자동차의 비중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생계 수단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렴한 자동차의 선택지가 줄어드는 가운데 특정 세대·소득 계층의 구매력이 급감하면 생계 수단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한 경제적 접근성(vehicle affordability) 이슈가 제기될 수 있다. 

정부는 국민의 자동차 구매여력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차 관련 세제 전반을 재검토하는 한편, 자동차 생산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자동차 관련 세목 중 시대적 소명을 다하였거나 중복 과세 여지가 있는 세목의 정리 및 취약계층의 자동차 관련 세금 감면 범위 확대 등  세제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희소 자원을 대체하거나 사용량을 줄이는 R&D, 자동차 반도체 수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아키텍처 혁신 R&D, 소재·부품 기업의 생산 프로세스 개선 컨설팅 지원 등 생산지원도 필요해 보인다.

자료 제공 : 한국자동차연구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