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 교수의 디자인 비평] 렉스턴 페이스 리프트의 디자인
상태바
[구상 교수의 디자인 비평] 렉스턴 페이스 리프트의 디자인
  • 구상 교수
  • 승인 2020.12.30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 7개월만에 등장한 렉스턴 페이스 리프트 모델
뒷모습은 테일 램프와 범퍼가 바뀌었다

지난 2017년 4월에 나왔던 G4 렉스턴이 3년 7개월만에 페이스 리프트 모델(Y450)로 나왔다. 우연의 일치겠지만 최근 필자가 리뷰를 쓰는 차종들이 대부분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다. 짧게는 2년에서 길게는 4년에 이르기까지 각 차종별 성격, 또는 메이커의 기술 개발 주기에 따라 페이스 리프트 시기는 천차만별이지만, 요즘 유난히 페이스 리프트 모델이 많은 것처럼 느껴진다.

2017년 4월에 등장한 첫 G4 렉스턴

처음 G4 렉스턴(Y400)이 나올 때는 국산 SUV 중에서 가장 큰 차라고 홍보했던 것 같다. 그렇지만 이제는 국산은 물론 수입 SUV 중에서도 G4 렉스턴보다 큰 차들이 많아졌기 때문인지 시각적으로 압도적인 크기는 아니다. 물론 비례상으로 좁고 높아서 껑충해 보이는 건 여전하다.

페이스 리프트 된 새로운 렉스턴은 이름에 쓰였던 G4라는 코드명도 없애고 ‘렉스턴’ 이라고만 명명됐다. 새로운 차량에서 가장 인상적인 건 8각형으로 디자인된 어마어마한 크기의 라디에이터 그릴이다.

 

8각형 라디에이터 그릴의 신형 렉스턴 전면 이미지

2017년에 나왔던 G4 렉스턴은 2001년에 나온 선대 렉스턴(Y200)의 이미지를 이어받은 슬림한 비례의 그릴로 점잖은 이미지를 주었는데, 이제는 오로지 크기로 승부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보여준다. 솔직히 첫인상은 과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아우디의 최근 SUV들도 비슷한 8각형 라디에이터 그릴을 쓰고 있지만, 이런 류의 느낌은 아니다.  

LED가 쓰인 헤드램프에는 주간주행등이 들어가 있지만, 요즘 대형 SUV는 헤드램프 위치가 승용차 운전자들의 눈높이이므로, 눈부심을 막기 위해서 아래로 내려 다는 추세다. 그렇지만 렉스턴은 위쪽을 고수하고 있다. 이유가 궁금해진다.

 

측면 이미지는 거의 동일하다

한편 각을 잡아서 디자인 한 앞 범퍼는 차체 색으로 칠했다. 본래의 G4 렉스턴은 낮게 설치된 앞 범퍼 부분을 검은색으로 처리해서 댄디한 이미지가 있었는데, 그 낮은 위치에 차체 색을 칠해 놓아서 시각적 무게 중심이 강렬한 8각형 라디에이터 그릴과 그 아래쪽에 디테일로 무장한 바디 컬러 범퍼로 분산되고 있다.

주연과 조연이 구분이 명확히 돼야 비로소 드라마 구성이 탄탄해지는 법. 만약 조연이 주연보다 더 튄다면 극의 전개는 뒤죽박죽이 된다. 그런데 새로운 렉스턴은 앞 모습에서 모든 디테일들이 저마다 주연 노릇을 하려고 다투고 있는 형국이다. 좋은 것을 모두 가져다 붙여 놓았지만 그게 능사가 아닐지 모른다. 게다가 범퍼의 안개등은 눈꼬리가 처져 있다. 어떤 감성을 표현하려 했는지 모르겠다. 

토르의 망치가 왜 여기에···

뒷모습은 다행히도(?) 앞모습처럼 디테일이 서로 다투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테일 게이트 아래쪽이 마치 말끔하게 면도를 한 듯 텅 비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테일 램프를 보면 볼보의 상징이 된 ‘토르의 망치’ 비슷한 형태가 자리잡고 있다. 혹시 쌍용은 그 ‘망치’가 부러웠던 걸까? 

운전석에 앉으면 D 컷 스티어링 휠이 눈에 들어온다. D 컷 스티어링 휠은 본래 전고가 낮은 스포츠 쿠페 등의 차량에서 승/하차 시에 운전자의 무릎이나 허벅지가 스티어링 휠에 닿아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나온 ‘고육지책’이다. 그런 이유에서 D 컷 스티어링 휠은 스포티한 차량의 상징이 됐지만, 무릎이 닿을 일이 없는 렉스턴에 D 컷 스티어링 휠은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는 지 아리송하다. 

 

앞 모습은 디테일에 욕심을 부린 인상이다
헤드램프를 내려 다는 게 요즘 추세라던데... 

왜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보다는 좋은 건 일단 다 가져다 넣는 게 새로운 렉스턴의 지향점인지 모르겠다. 요즘 트렌드에 따라 듀얼 존 공조장치를 넣은 것은 좋지만, 온도 조절 기능을 다이얼 식이 아닌 버튼식으로 만든 이유도 궁금해진다. 운전 중에 온도를 조정하려면 한 번 누를 때마다 0.5도씩 오르거나 내려갈 것인데, 그것도 좌우를 따로 따로··· 버튼을 많이 누르는 게임을 좋아하는 요즘 소비자들을 겨냥한 것일까?

이러한 부분들, 토르의 망치와 8각 그릴 등등을 내부적으로 걸러내 줄 안목 있는 디자이너가 쌍용에 없을 리 만무하다. 하지만 고급차라고 해서 좋은 걸 다 가져다 우겨넣으면 무슨 맛인지 모를 잡탕이 될 뿐이다. 물론 쌍용의 디자이너들은 죄(?)가 없다. 감각적인 디자인을 최대한 내놓아야 하는 게 임무이기에.

눈꼬리가 쳐져서 어딘가 처량한 눈빛이다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는 명품 악기를 연주하는 명문 음대 출신의 연주자들과 저명한 지휘자로 구성돼 있다. 그럼에도 그들은 콘서트를 앞두고 오랜 시간 연습을 한다. 그들이 연습하는 이유는 절대 기량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그들이 지향하는 곡의 해석을 관객들에게 들려주기 위해 연습을 통해 음색을 조정하고, 강조하고 싶은 대목을 찾아 내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높은 음악성을 가진 지휘자가 필요하다.

자동차 디자인 역시 마찬가지이다. 실무 디자이너들이 아무리 감각적인 디자인을 많이 내놓는다 해도 그들을 잘 조율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그 누군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다. 정말로 완성도 높은 디자인은 요란한 디테일을 뽐내는 디자인이 아니라, 콘셉트에 따라 주연과 조연이 명확히 각각의 위치에서 역할을 하는 디자인, 그게 바로 완성도 높은 디자인인 것이다.

 

좌우의 온도를 각각 조절하려면 여러 번 눌러야 한다

뒤돌아보면 1996년에 나왔던 쌍용자동차의 뉴 코란도(KJ)는 명확한 개성과 창의성을 가진 디자인으로 젊은이들의 드림카였고, 2001년에 나온 초대 렉스턴(Y200)은 창의적이고 오리지널리티 넘치는 디자인으로 각광받았다. 그렇다면 오늘의 신형 렉스턴은 어떨까?

쌍용자동차를 응원하고 싶은 것은 많은 사람들의 한결 같은 마음일 것이다. 그렇지만 좋은 말만 해주는 건 응원이 아님이 확실하다. 잘 된 디자인에 대해 당연히 찬사를 보내야 하지만, 문제가 보이는데 그걸 훌륭하다고 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